이규희 위원장은 시원시원하다. 괜히 거드름 피우며 센 척하는 허세가 아닌 자신이 판단한 바를 솔직히 인정하며 정확한 사실을 이야기하는 면에서 그렇다. 오산이 고향으로 오산 사람이라면 모두 알 만한 오산 전통 명문 성호초등학교를 졸업하고 줄곧 오산에서 살아왔다. 경희대학교 아트퓨전디자인대학원 실용음악학과 겸임교수, 오산대학교 뷰티&코스메틱계열 객원교수, 강동대학교 방송영상미디어전공 객원교수이며 오산시 소재 액터스엘 연기학원 대표이기도 하다. 그의 부친은 제5대 이순영 경기도의원이다. 이순영 의원은 경기도의회 문교위원, 자치행정위원으로 활동했다. 이규희 위원장은 앞서 제19대 국회 회기인 2012년 정치에 들어섰다. 현재 만 46세 젊은 나이의 그가 정계에 입문했을 당시 정치권에서 주목받기에는 다소 어린 나이였다. 시간은 그를 더욱 성숙하게 했다. 합리적 선택을 선호하며 중도를 지향하는 바른미래당의 지역위원장을 맡으면서 열심히 뛰어다녔고 덕분에 오산시 내에서 몇 걸음 걸을 때마다 인사를 나눌 정도로 풍부한 인맥도 형성하게 됐다. 오산을 일일생활권으로 하는 지역을 오산으로 편입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그는 오산의 ‘광개토대왕’이라고 자평한다. 구도심을 살려 오산경제의 활력소로 만들고 슬럼화를 방지해야 한다고 역설한다. 오산경계 근방의 외국인 노동자 현황 파악도 잊지 않았다. 또 △국회의원 4선 연임 금지 △시의원 당공천 폐지 △국회의원 주민소환 등 개혁적 정치공약을 추진해 정치의 턱을 낮추겠다고 강조한다. “아기 기저귀와 정치인은 자주 바꿔줘야 한다”며 오산 지역 정치의 변화를 말하는 이규희 위원장을 앞선 24일 오전 오산시 그의 연기학원 사무실에서 만나봤다. △ 이규희 바른미래당 오산시 지역위원장(오른쪽)이 앞선 24일 오전 오산시 그의 연기학원 사무실에서 인터뷰를 진행하고 있다. 그는 자신을 ‘오산 광개토대왕’이라고 자평하며 오산을 일일생활권으로 하는 지역을 오산으로 편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또 △국회의원 4선 연임 금지 △시의원 당공천 폐지 △국회의원 주민소환 등 개혁적 정치공약을 추진해 정치의 턱을 낮추겠다고 강조하는 등 젊은 열정과 패기를 보인다. “아기 기저귀와 정치인은 자주 바꿔줘야 한다”며 오산 지역 정치의 변화를 말한다. 4차 산업에서 빠질 수 없는 콘텐츠 산업인 방송과 음반활동 경험으로 대학교와 아카데미에서 영상과 연기수업으로 학생들을 지도하고 있다. 그러던 가운데 대안이 나타났다. 바로 바른미래당이다. 바른미래당은 중도개혁성향의 제3의 정당이다. 이념논쟁과 지역주의를 타파하고 4차 산업시대를 논의할 당이 우여곡절 끝에 탄생한 것이다. 아직 갈 길은 멀고 험하다. 한국 현대사에 있어 거대양당의 견제 속에서 제3정당이 성공한 사례가 드물기에 새로운 길을 개척하고 시행착오를 겪을 시간이 필요하다. 지금이 이런 시기라고 생각한다. 이 시기가 지나 바른미래당이 안착한다면 거대양당은 더는 예전의 비효율적이고 비상식적인 정치를 할 수 없을뿐더러 국민은 예전에 보지 못했던 대국민 정치서비스를 경험하게 될 것이다. 둘째 오산은 계속 확장돼야 한다. 오산을 일일생활권으로 하는 지역을 오산으로 편입해야 한다. 기업들이 오산의 시설을 이용하면서 세금은 행정구역상으로 속한 곳에 납부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 셋째 구도심을 살려야 한다. 구도심을 살려 오산경제의 활력소로 바꿔야 한다. 그곳이 상업공간이든 주택공간이든 문화공간이든 바꿔서라도 점점 슬럼화가 돼가는 것을 막아야 한다. 넷째 오산시의회의 시정 대처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작금의 세교지구 시민들의 불만을 들어줄 시의회의 역할이 아쉽다. 다섯째 오산시 또는 오산경계 근방의 외국인 노동자 관련 정확한 현황파악이 필요하다. ◆ 이 외 와이뉴스 독자께 전하고 싶은 말씀과 향후 활동계획 부탁. 이규희 위원장 인터뷰 영상 보기 >> |
http://whynews.co.kr/report_view.php?report_group=12&t_menu=12&num=2920&go=0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뷰] 장정옥 오산 소리울도서관 팀장 (0) | 2019.08.12 |
---|---|
[인터뷰] “성찰적 시민은 지역과 문화 바꾸는 힘” (0) | 2019.07.27 |
[인터뷰] 삼성 산재 투쟁 10년 만에 산재 인정 한혜경 김시녀 씨 (0) | 2019.06.25 |
[인터뷰] “음주운전 실수 아닌 본인 판단” (0) | 2019.06.21 |
[인터뷰] “나누고 더불어 행복한 공평 정의 복지국가” (0) | 2019.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