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3 취업 나간 첫 직장이었다. 만으로 18살. 집에서도 반색했다. 우리나라 최고 기업인 삼성이었기에. 첫 월급은 모두 부모님께 드렸다. 그렇게 성실히 모든 돈으로 2년 만에 작은 집도 샀다고. 그 행복은 오래 가지 않았다. 한혜경 씨는 입사 3개월 만에 생리불순과 피부 질환을 앓게 되고 병원 치료와 투약을 하며 햇수로 6년을 근무했다. 퇴사 후 4년 뇌종양 진단을 받았다. 정형외과와 정신과를 제외한 모든 병원을 전전하며 얻어낸 결과였다. 그녀의 나이 28살. 아프기 전 한혜경 씨는 명랑한 딸이었다. 자신은 상고를 나왔을지언정 남동생은 대학교 보내야 한다며 자신의 월급을 동생 등록금으로 고스란히 바쳤다. 자신은 가정을 꾸려 현모양처로 그저 평범하게 살아가기를 바랄 뿐이었다. 한혜경 씨는 삼성전자 기흥공장에서 납과 유기용제 등에 노출된 채 생산직으로 일하다 퇴사한 지 4년 뒤인 2005년 뇌종양 진단을 받았다. 이은 2009년 근로복지공단에 산재 요양급여를 신청했지만 승인되지 않았다. 그 후 행정소송을 제기했지만 모두 패소했다. 그러다 2018년 10월 근로복지공단에 산재 재신청 해 앞선 5월 30일 산재인정 통지를 받았다. 서울시 동작구 사당동 ‘반도체 노동자의 건강과 인권 지킴이-반올림’ 사무실에서 앞선 21일 오후 한혜경 씨의 어머니 김시녀 씨와 한혜경 씨를 만나봤다. 입사 3개월 때부터 생리불순 증상이 있었다. 그렇게 엄청난 화학물질을 사용할 거라고 누구도 상상할 수 없는 일이었다. 대한민국에서 일등 가는 기업 삼성이니 설마 했었던 거다. 삼성, 현대, 엘지 등 대기업으로부터 학교로 공문이 왔을 때 삼성에 들어가니 자랑스럽기도 했다. 그랬었던 삼성에 들어가서 이게 직업병이라고 의심하는 경우는 별로 없었을 거라 생각한다. 몸이 안 좋아져서 퇴사를 했다. 생리불순이 일어나 병원에 서 호르몬제 주사를 맏고 약을 장기간 복용하니 부작용으로 몸이 붓고 행동이 둔해지는 현상이 자주 발생했다. 그 다음부터는 약을 먹고 주사를 맞아도 생리가 아예 안 나와 퇴사를 하게 됐다. 1995년 8월경 입사해 2001년경 퇴사했으니 햇수로 6년 정도 근무했다. 입사하면서 퇴사할 때까지 한 라인에서만 일했다. (당시만 해도)생리가 없어서 피부에 트러블이 일어났지만 구체적 통증이 수반된 것은 아니었다. 또 녹색 회로기판을 만들 때 납성분만 취급했던 것이 아니라 아세톤, 벤젠, 유기용제 등 여러 가지를 취급했는데 왜 유독 납성분 하나만으로 다툼이 됐는지 억울했었다. 혜경이가 일했던 현장이 (포함된) 사업장이 얼마 후 없어졌다. 역학조사를 했었다면 어디서 무엇을 갖고 했기에 혜경이가 납 노출이 적었고 개인적 질병이라고 판정 났는지 너무 궁금했었다. 같이 근무했었던 동료들은 유산율이 높았다고 들었다. 처음에 혜경이 MRI 찍고 뇌종양이라는 판정 받았을 때 하늘이 무너지는 것 같았다. 어떻게 말로 하겠나. 이루 말할 수 없다. 한참 후 삼성 인사과에서 혜경이 근황이 궁금하다며 전화했다. (전화한 사람은) 혜경이가 입사했을 때 자신이 인사과에 있었다고 했고 모 과장이라고 했다. 이름은 밝히지 않았다. 한 번 춘천에 찾아오겠다고 했다. 공식적 만남만 갖고 개인적으로는 만나지 않겠다고 했다. 당시 반올림을 해체하려 했던 삼성의 움직임이 컸기 때문이다. 그 후 삼성에서 중재역할 및 해결을 위임받은 법률사무소 노무사가 찾아왔다. 일이 없어서 (삼성 측의 의뢰를 받았다며) 명함을 주면서 저희한테 (연락했다). 삼성에서 10억 원을 줄 테니 일단 반올림에서 빠지고 사회 어느 단체와도 손 안 잡는 조건을 제시했다. 집으로 세 번인가 왔었고 동네 근처에서 총 6-7번인가 만났었다. 사실 그때 너무 힘들고 처음 산재 신청할 때 산재인정이 빨리 되겠지 했었는데, 대한민국에서 가장 으뜸 되는 기업이니 삼성이니 다르겠지 생각했었는데 근로복지공단에서 패소되고 위협감을 느꼈다. 법원에 가서도 과연 빨리 해결이 될지, 삼성이라 오히려 대기업이라 더 늦게 되는 거 아닌가 위압감을 느꼈다. 수술하면서 아파트도 팔고 그러다 보니까 형편이 여유 있는 것도 아닌 상황에서 10억 원은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액수였다. 처음에는 혜경이에게 받는다는 결정은 말 안 했다. 혜경이 남동생과 의논해 받기로 하고 혜경이에게 말했더니 혜경이는 자신과 같은 사람 또 나오면 안 된다며 결사반대했다. 그 후 잘못을 깨닫고 인터넷에 올리고 그러면서 그렇게 싸움이 시작된 것이다. 화학물질 관련해서 현장 노동자들이 알 수 있는 방법은 작업장에 비치된 물질안전보건자료다. 이번에 개정은 됐는데 개정 전에는, 사업장에 비치는 돼 있는데 집에 가져가서 보는 것은 안 된다는 태도였다. 그러니 실제로 얼마나 보겠나. 직업병이 났을 때 가져가서 상세히 검토하는 것은 불가했다. 2018년 반올림 와서 처음 사례가 한혜경 씨 재신청이었다. 진행하면서 뜻깊었다. 큰 사건이기도 하고 그간 반올림이 해왔던 일들을 이 사건 하나로 집약적으로 알 수 있었다. 10년 전에 주장했던 것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똑같이 위험을 얘기했지만 그 당시에는 사회가 들을 수 없었는데 두 분의 10년 간 투쟁으로 바뀌었다.
촛불 혁명 때 이재용 부회장 구속 재판에 참석했을 때 태극기 부대가 혜경이한테 “병신 보고 병신이라고 얘기하는 게 (뭐가 문제냐)” 그 말을 법원 건물 안에서 내 딸한테 했고 그 트라우마는 아직 갖고 있다. 대성통곡을 했다. 그때가 가장 힘들었던 것 같다. 버틸 수 있었던 것은 반올림을 비롯한 사람들이 힘을 연대해줬기에 가능했다. 헌신적인 사람들이다. 세상에 이런 천사들이 또 있을까 싶을 정도다. - 김시녀 씨) 삼성에 입사했을 때 최소한 너희가 쓰는 물질이 너희 몸에 어떤 해를 입힐 수 있다고 얘기해줬으면 자신의 몸을 관리를 할 수 있었다는 생각이다. 건강검진을 받아도 개인에게 통보가 아예 없었다. 결과를 전혀 통보하지 않았다. 어떤 환경에서 어떤 일을 하든 노동자가 회사를 너무 믿지 말고 사비를 들여서라도 1년에 한 번이라도 건강검진을 받으면서 일하라고 혜경이는 당부한다. 한혜경 씨 김시녀 씨 인터뷰 영상 바로 보기 >> https://tv.naver.com/v/8908122 |
http://whynews.co.kr/report_view.php?report_group=12&t_menu=12&num=2918&go=0
'사람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뷰] “성찰적 시민은 지역과 문화 바꾸는 힘” (0) | 2019.07.27 |
---|---|
[인터뷰] 이규희 바른미래당 오산시 지역위원장 (0) | 2019.06.26 |
[인터뷰] “음주운전 실수 아닌 본인 판단” (0) | 2019.06.21 |
[인터뷰] “나누고 더불어 행복한 공평 정의 복지국가” (0) | 2019.06.18 |
[인터뷰] “정치적 성과의 최종 평가자는 시민이다” (0) | 2019.06.13 |